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회계학 지상강의) 재무회계 개념체계 - 재무제표의 요소

회계이야기

by 닥봉 DOC.BONG 2021. 4. 14. 16:19

본문

반응형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이렇게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엄밀히 말하면, 한가지가 더 있다. 즉, 회계정책을 소급하여 적용하거나, 재무제표의 항목을 소급하여 재작성

또는 재분류하는 경우 전기 기초 재무상태표 -> 그냥 이런 재무제표도 있구나 라고 넘어가면 되겠습니다.)

 

재무제표의 5가지 종류 중에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가 주요 재무제표이다.

회계사건이 발생하여 회계처리할 때, 최초 기재가 되는 것이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이기 때문이다.

자본변동표와 현금흐름표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 기재된 계정과목과 금액 등을

특정한 목적에 맞게 다시 작성한 재무제표에 해당된다.

 

자본변동표는 일정기간 동안 자본의 변동내용에 대해서

현금흐름표는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흐름 변동내용을 표시하는 재무제표이다.

 

재무회계 개념체계는

주요 재무제표인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가 어떤 요소로 이루어 져 있는지에 대해서

정의를 하고 있다.

 

먼저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는 자산, 부채, 자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정의는 아래 판서 및 교재내용을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재무제표 요소 강의 판서 - 객관식 회계학(로이즈학원)

 

다음은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는 크게 수익과 비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정의는 아래 판서와 교재내용을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재무제표 요소 강의 판서 - 객관식 회계학(로이즈학원)

 

객관식 회계학(유재봉 편저, 도서출판 로이즈) p49

 

<Study Guide>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여지분이라는 점.

따라서, 자본은 측정시에도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하여 측정한다.

즉, 공정가 평가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

회계학에 계속해서 나오는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